누구에게나 통하는 복지
제주복지넷
복지서비스
제주도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서비스 (교통약자 콜택시)
-
대상
등록일자 : 2022. 02. 22.
수정일자 : 2025. 01. 09.「제주특별자치도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 조례」 제11조에 준함
구분 이용대상 가. 2019. 7. 1. 이전 장애등록 ∙ 1급 또는 2급 장애인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사람
∙ 보행상 장애인으로 제3급 장애인
(보건복지부 고시 2017-76호)나. 2019. 7. 1. 이후 장애등록 ∙ 보행상 장애인으로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
(보건복지부 고시 2019-117호)다. 그 외 이용대상 ∙ 보행 장애로 인해 휠체어를 이용하는 65세 이상 어르신
∙ 제주특별자치도 조례에서 정하는 사람※ 완전도움이 필요한 이용자는 반드시 보호자가 함께 탑승하셔야 합니다.
.
-
내용
등록일자 : 2022. 02. 22.
수정일자 : 2022. 03. 03.○ 차량 이용시간 : 365일 연중무휴, 24시간 운행
○ 운행지역 : 제주특별자치도 전지역(섬지역 제외)
○ 이용요금
「제주특별자치도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 조례」 제13조에 따라 지방교통심의위원회에서 정한다.
· 기본요금(10km내) : 500원
· 거리요금(1km당) : 100원 / 요금상한제 : 1,000원(15km초과)
· 현금, 체크카드, 신용카드, 교통카드 결제 가능○ 이용 시 주의사항
이용제한 중인 이용자는 제한 기간 동안 동승인, 보호자로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 서비스 이용이
불가능합니다.다음에 해당하는 이용자는 차량이용이 제한됩니다.
· 허위 사실을 유포하여 특별교통수단 운영에 지장을 줄 경우
· 본 사업의 목적을 왜곡할 경우
· 상습적으로 차량 접수 취소가 잦은 경우
· 차량 이용 후 요금 납부를 거부한 경우
· 접수한 차량을 콜 센터 상담원이 동의 없이 타인에게 양도한 경우
· 완전도움 이용자 탑승 시 보호자가 동승하지 않는 경우
· 장애인 보조견을 제외한 운전에 방해를 줄 수 있는 애완동물 및 폭발성 · 인화성 물질을 소지한 경우
· 이용고객이 차량을 접수하고 비장애인만 승차시키는 경우
· 교통약자를 위한 보호자의 동반 탑승은 최초 탑승 시부터 동승하여 타고 내려야하며, 중도에 보호자만
개별적으로 탑승하거나 하차한 경우
· 장애등급을 허위 고지하고 우선배차를 받는 등 부정 탑승 행위를 한 경우
· 음주로 인한 상담원 접수 및 운전원의 안전운행에 방해할 경우
· 기타 차량 이용에 부적합한 자 (상담직원이나 운전직원에게 폭행, 폭언, 성추행 등의 행위를 하는 자)○ 이용제한 기준일
특별교통서비스 이용제한 사유에 해당하여 형사처벌을 받은 사람은 특별교통서비스 이용이 영구 정지되며,
이용제한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.· 당일 접수장소를 5회 변경한 자 : 7일
· 차량 도착 후 이용을 월 3회 취소한 자 : 7일
· 차량이 배차된 후 월 10회 취소한 자 : 7일
· 센터로 이용신청 없이 운전직원과 직접 연락하여 차량을 월 1회 이용한 자 : 1개월
· 상담직원이나 운전직원에게 폭행, 폭언, 성추행 등의 행위를 한 자 : 2개월 이내
· 의도적으로 특별교통수단의 운행을 월1회 방해한 자 (방뇨, 오물투기 등) : 2개월 이내
· 당예약한 차량을 센터 동의 없이 타인에게 양도한 경우 : 쌍방 2개월
· 과도한 음주로 인하여 승 · 하차시와 운행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자 : 예약취소○ 차량 내 화물적재 기준
· 리프트 공간은 이용자와 휠체어만 승차 가능하며, 이용자의 개인적 용도의 수화물은 적재할 수 없다.
· 운전원이 적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범위는 가벼운 손가방 2개 정도만 가능하며 그 이상의 수화물은
이용자 또는 보호자가 직접 적재 해야함
· 이용자의 수화물이 차량 내를 지저분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는 물품의 경우 시트 혹은 밀봉 등으로
위생조치가 선결 되어야함
· 차량 내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물품을 적재할 경우 보호제를 사용하여 안전조치가 선결되어야 하며,
이용자의 적재물이 차량을 손상시킬 경우 이용자가 손해를 부담하여야 함 -
방법
등록일자 : 2022. 02. 22.
수정일자 : 2025. 01. 09.· 사전 회원등록 후 이용 가능 (회원 등록시 제출서류 및 등록기간 2~3일 소요)
· 당일 이용시간대 전화접수(1899-6884) 및 인터넷 또는 앱을 통한 차량 신청(24시간 실시간 접수)
※ 예약접수 불가- APP 이용안내 (클릭하시면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.)
- 인터넷 접수 (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.)· 승차 전 장애인(심한장애) 이용자는 복지카드(장애인증명서)를, 65세이상 휠체어 이용 노약자는 본인임을 확인 할 수 있는 신분증 등을 제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· 차량탑승 최대인원은 휠체어 사용시 본인포함 4명, 미사용시 3명까지 가능 합니다.
※ 회원등록방법
· 이용신청서 작성 제출 → 센터접수 → 심사위원회 심의(이용여부 결정) →회원등록 →접수 후 차량 이용
· 이용신청 서류(내방, 팩스, 메일접수 가능)
1. 특별교통수단 이용신청서
2. 이용자 준수사항에 대한 동의서
3.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관한 동의서
4. 증빙자료구분 증빙서류 가. 2019. 7. 1. 이전 장애등록 ∙ 장애인증명서 또는 복지카드
∙ (구)장애등급조회결과 안내문(복지카드 재발급으로 등급 확인이 불가한 경우)나. 2019. 7. 1. 이후 장애등록 ∙ 장애인증명서 또는 복지카드
∙ 장애정도 추가심사 결과안내문
∙ 보행상 장애 표준 기준표상 △ 해당자인 경우 필수이며, 보행상 장애에 해당되어야 함다. 그 외 이용대상 ∙ 진단서, 신분증
- 정형외과, 재활의학과, 신경외과 전문의 발급
- (요양원, 한의원 발급건 미인정)※ 공통서류 : 특별교통수단이용신청서, 이용자준수사항 동의,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서
※ 진단서는 "보행장애로 인해 휠체어 이용이 불가피함에 따른 대중교통의 이용이 어렵다" 는 진단내용이 명시되어야 함
※ 완전도움이 필요한 이용자는 반드시 보호자가 함께 탑승하셔야 합니다.- 만13세 미만 어린이, 75세 이상의 고령자,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이용회원으로 등록 되신 분은 보호자로 인정되지 않습니다.
-
문의
등록일자 : 2022. 02. 22.
수정일자 : 2022. 02. 22.※ 제주특별자치도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
콜센터 : 1899-6884
문자접수 : 010-6641-6884
이용불편접수 : 064-740-9201
팩스번호 : 070-4275-1253
이메일 : jejuhappycall@naver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