누구에게나 통하는 복지
제주복지넷
복지서비스
복지정보
복지서비스
복지서비스
공공[정부]
장애인 창업육성
장애인(국가유공자 중 상이자 포함) 예비창업자 및 업종전환희망자 장애유형·희망업종별 맞춤형 창업 교육 및 창업지원 연계 서비스 제공• 창업 유형별·업종별 맞춤형 교육 무상 제공
온라인
창업기초교육
창업을 희망하는 예비창업자의 ......
공공[정부]
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
등록장애인 및 상이등급 판정을 받은 국가유공자 정보통신 보조기기 제품가격 기준 정부지원 80%(본인부담금 20%)※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(장애인수당급여자) 등 경제적 여건으로 기기구입이 어려운 저소득 장애인의 경우 본인부담금의 50% 추가 ......
공공[정부]
장애인 의료비 지원
등록장애인 중 의료급여 2종 수급권자 및 차상위 본인부담경감대상자(만성질환자 및 만 18세 미만 아동 등)※ 장애인 의료비는 장애인에게만 지원되므로 장애인과 세대를 같이하는 비장애인인 가족은 지원 대상 아님 의료기관 진료비 중 의료비 본인부담......
공공[정부]
장애인 건강보험료 경감
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인 등록장애인
구분
지원내용
자동차분 건강보험료전액 면제
등록장애인 소유 자동차는 건강보험료 산정 시 제외※ 2024.2월부터 자동차 부과 폐지
산출보험료 경감
등록장애인이 있는 세대......
공공[정부]
장애인 보조기기 급여
건강보험(의료급여) 대상자 중 등록장애인
구분
지원내용
건강보험대상자
• 적용대상 품목의 기준액, 고시액(해당품목*), 구입액 중 낮은 금액의 90% 지원 * 전동휠체어, 의료용스쿠터, 자세보조용구, 이동식전동리프트, ......
공공[정부]
장애정도 심사 검사비 지원
• 신규 장애인 등록 신청자 중 기초생활수급자(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)• 기존 등록장애인 중 재판정*을 실시하는 기초생활수급자(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) 및 차상위 계층 * 재진단기한 도래에 따른 의무적 재판정 및 장애인연금, 장애수당,......
공공[정부]
장애정도 심사용 진단서 발급비 지원
• 신규 장애인 등록 신청자 중 기초생활수급자(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)• 기존 등록장애인 중 재판정을 실시하는 기초생활수급자(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) 및 차상위 계층 장애정도 심사용 진단서 발급 비용의 일부 지급※ 기준 비용보다 영수액......
공공[정부]
장애인 보조기기 지원
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인 지체·뇌병변·시각·청각·심장·호흡·발달·언어 장애인 42개 품목의 보조기구를 지원 금액 내에서 무료 교부
구분
지원내용
시각 장애인
음성유도장치(음향신호기리모컨), 음성시계, 영상 확대 ......
공공[정부]
장애 입양 아동 의료비 지원
장애아동을 입양하여 양육하는 가정 장애아동의 의료비(진료, 상담, 재활 및 치료 소요 비용)를 연간 최대 260만 원까지 지급 시군구청에 신청 보건복지상담센터(☎129)
공공[정부]
언어발달 지원
부모(조손 가정일 경우 조부모) 중 어느 한쪽 (조)부모가 시각, 청각, 언어, 지적, 자폐성, 뇌병변 등록장애인이며,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 중위소득 120%(4인 기준 직장 24만 7,170원, 지역 20만 5,217원) 이하......
공공[정부]
청각장애인 인공달팽이관 수술비 지원
• 신규수술 : 의료기관이 인공달팽이관 이식 수술이 필요하다고 진단한 청각장애인• 재활치료 : 최근 3년간(2021년 1월 1일 이후) 인공달팽이관 이식 수술을 받은 청각장애인 ※ 재활치료는 수술 후 다음 연도부터 3년 이내만 신청 가능 • ......
공공[정부]
발달재활 서비스
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 중위소득 180%(4인 기준 직장 37만 7,299원, 지역 35만 1,294원) 이하 가구의 18세 미만 장애아동(뇌병변, 지적, 자폐성, 언어, 청각, 시각) ※ 재학 중인 아동은 20세 미만까지 가능 ......
공공[정부]
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
지속적인 건강관리, 재활훈련 등의 서비스가 필요한 지역사회 등록장애인 조기적응프로그램, 건강관리서비스(통증관리, 만성질환 등), 재활훈련서비스(재활운동교육, 2차장애예방교육 등), 자원연계서비스(통합건강증진 사업 내 연계, 의료기관 연계 등)......
공공[정부]
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
관할 시도 내 거주하는 장애인 또는 손상이나 질병발생 후 완전한 회복이 어려워 일정기간 내 장애인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자 의료를 기반으로 보건의료·복지의 필요 서비스를 통합적 연계 및 제공하여 대상자의 지역사회 조기복귀를 지원※ 지역내 의료......
공공[정부]
장애친화 건강검진
장애인에 국한되지 않으며,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한 수검자 이용 가능다만, 중증장애인 이용 시 별도의 검진가산비용에 대해 검진기관 추가 지원 유니버설 검진장비, 탈의실, 접수대 등 편의시설, 검진보조인력(수어통역사) 배치 등 지원서비스를 제공하...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