누구에게나 통하는 복지
제주복지넷
복지서비스
복지정보
복지서비스
복지서비스
공공[정부]
통합문화이용권(문화누리카드)
6세 이상(2018년 12월 31일 이전 출생)의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, 저소득 한부모가족 문화예술, 관광, 체육활동에 사용 가능한 문화누리카드(1인 1매, 연간 13만 원) 발급• 문화예술 : 공연, 전시, 영화, 도서, 음반, 문화......
공공[정부]
스포츠강좌이용권
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정 중 만 5~18세 유·청소년※ 장애인스포츠강좌이용권 대상 : 만 5~69세 장애인(스포츠강좌이용권과는 중복이용 불가) • (저소득층 유청소년) 1인당 매월 10만 원 이내 스포츠강좌(태권도, 수영 등)......
공공[정부]
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
기초생활수급자(생계급여·의료급여·주거급여·교육급여), 장애(아동)수당 수급자, 장애인연금 수급자,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족 • 산림복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(1인당 연 10만 원)을 65,000명에 지급• 산림복지서비스제공자로 등록된 ......
공공[정부]
서민금융진흥원 소액보험(한부모가정의료보험)
한부모가족의 부양자(생계 및 의료급여 수급자는 대상에서 제외)와 만 13세 이하 자녀 저소득층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가입 대상에 해당하면 자동 가입되어 보험 기간 중 발생한상해·질병 등에 대하여 보험금 청구 가능 보험금 지급이 필요한 경우 서민......
공공[정부]
평생교육바우처
19세 이상 성인 중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기준 중위소득 65% 이하인 가구의 구성원⁕ 단, 1인가구의 경우 기준 중위소득 120% 이하 지원인원 57,000명 내외, 1인당 연간 35만 원 사용이 가능한 바우처 카드 지원※ 단, 국가......
공공[정부]
실업급여
회사를 그만두기 이전 18개월 동안 180일 이상(예술인은 24개월 동안 9개월 이상, 노무제공자는 24개월 동안 12개월 이상) 고용보험에 가입하여 근무하고, 본인이 원하지 않았음에도 퇴사한 후 재취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사람• 회사......
공공[정부]
국민연금 실업크레딧
국민연금 가입이력이 1개월 이상 있는 18세 이상 60세 미만 구직급여 수급자※ 재산세 과세표준 6억 원 초과, 사업·근로소득 제외한 종합소득금액이 1,68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지원 제외 국민연금보험료*의 25%를 본인이 부담할 경우 나머......
공공[정부]
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제도
직장가입자로서의 자격을 유지한 기간이 사용관계가 끝난 날 이전 18개월 간 통산 1년 이상인 사람 퇴직 후 지역가입자로 전환 되어 내야하는 보험료가 퇴직 전 직장보험료 보다 많은 경우, 최대 36개월 동안은 퇴직 전 직장보험료 수준으로 납부하......
공공[정부]
국민취업지원제도
필요요건
연령
가구단위 소득
가구원 재산
Ⅰ유형
15~69세
중위소득 60% ↓(18~34세 청년 : 중위소득 120% ↓)
4억원 이하(18~34세 청년 : 5억원 이하)
Ⅱ유형
중위소득 100% ↓......
공공[정부]
국민내일배움카드제
국민 누구나 신청 가능※ 단, 공무원, 사립학교 교직원, 연매출 4억 원 이상의 자영업자, 월 임금 300만 원 이상의 대규모기업 근로자(만 45세 미만), 월 소득 500만 원 이상의 특수형태근로종사자, 졸업까지 남은 수업 연한이 2년을 초......
공공[정부]
허그일자리지원 프로그램
만 18세 이상~만 64세 이하의 형사처분 또는 보호처분을 받은 사람으로 취업 희망자※ 위기 청소년은 만 15세 이상 개인별 취업활동계획에 따라 단계별 맞춤형 취업지원과 함께 각종 수당을 지급하는 통합 취업지원프로그램
(1단......
공공[정부]
자활근로
근로 능력이 있는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중 희망자 자활근로사업단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참여자에게 인건비 지급 시군구청 및 읍면동 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에 방문 신청 보건복지상담센터(☎129)
■ 알려드립니다
자활근로사업단이란?- 청소,......
공공[정부]
정부지원 일자리 제공
중앙부처, 지자체 일자리 지원 사업별로 상이하며, 장기 실업자 등 취업취약계층* 우선 지원* 취업취약계층 : 저소득층, 여성가장, 장애인, 고령자, 북한이탈주민, 결혼이주자 등 참여기간 1년 미만의 일자리(중앙부처,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한시적......
공공[정부]
희망저축계좌(Ⅰ, Ⅱ)
구분
가입기준
Ⅰ유형
- (생계급여·의료급여 수급가구)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40% 이하인 가구 중 - (근로활동) 가구원 중 일하는 사람이 있어야 하며, - (소득기준) 신청 당시 가구 전체의 총 근로·사......
공공[정부]
청년내일저축계좌
• (가입연령) 신청 당시 19세~34세(단, 수급자·차상위자는 15~39세까지 허용)• (근로·사업소득) 모집 시 별도 공고• (가구소득)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 • 매월 본인 저축 납입자에 한하여 본인 저축액 10만 원(매월 전월 2......